봉준호 감독의 할리우드 영화 '미키 17'이 극장 개봉 한 달 만에 적지 않은 손실을 안은 채 상영을 종료하고, 안방극장이라고 할 수 있는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가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7일 북미 3천8백여 개 극장에서 개봉된 '미키 17'은 미 서부 시각 오는 7일 저녁 9시에 미국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에 공개되며 극장 상영을 마무리하는 수순을 밟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경제 매체 포브스는 '미키 17'을 애플TV와 판당고 등 다른 여러 스트리밍 플랫폼에서도 볼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4일까지 상영관 수가 점차 줄어들었던 '미키 17'은 미국 영화 흥행 집계 사이트 박스 오피스 모조에서 한 달간 북미에서 653억 원, 다른 지역에서 1,136억 원의 티켓 매출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에서도 영화관 입장권 통합 전산망 기준 6일까지 누적 관객 수가 299만 8천여 명, 누적 매출액 296억 원으로 큰 흥행을 거두지는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총 1,789억 원의 티켓 매출을 기록한 '미키 17'에는 마케팅·홍보 비용을 제외한 순 제작비만 1,700억 원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매체 버라이어티는 이 영화의 투자 배급사인 워너 브러더스가 마케팅에 1,169억 원을 추가로 지출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극장이 떼어가는 몫을 고려해 이 영화의 티켓 매출 손익 분기점이 4,385억 원 수준이라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지난달 하순 '미키 17'의 전 세계 티켓 매출이 총 2,090억 원에 그칠 것이라는 업계 예상치를 전하면서 이 영화의 손실액이 1,169억 원에 달할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 '미키 17'이 이런 업계 예상치를 실제로 넘어서지 못하면서 극장 상영 손실액은 이보다 더 클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요즘 영화 대부분은 극장 개봉만으로 흑자를 내지 못하고 TV·스트리밍 플랫폼 판매를 통해 손실분을 메우곤 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통상 영화 흥행 성적이 스트리밍 업체와의 계약 금액을 좌우하기 때문에 '미키 17'이 끝내 적자를 벗어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버라이어티는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할리우드 스타 로버트 패틴슨이 주연한 '미키 17'은 개봉 초기 미국 시장 조사 업체 시네마 스코어의 현장 관객 대상 조사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인 B 등급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또 미국의 영화·드라마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평론가 점수는 100점 만점에 77점, 관객 점수는 73점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40712472604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